박민원
박민원
소속
국립창원대학교 (전기전자제어공학부 전기공학전공)
AI요약
국립창원대학교 박민원 교수는 초전도 기술, AI 융합 에너지 시스템, 전기자동차 배터리 활용 및 풍력 발전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전도 발전기, SMES(초전도 자기에너지 저장장치), AI 기반 진단 모델 등 미래 전력 시스템 혁신에 기여하는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며 해당 분야의 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박민원 교수의 연구는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와 지속 가능한 전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박민원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paku@changwon.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전기전자제어공학부 전기공학전공 |
| 사무실 번호 | 0552133638 |
| 연구실 | 차세대전력기술응용연구센터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changwon.ac.kr/capta/main.do |
| 홈페이지 | https://www.changwon.ac.kr/capta/main.do |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중요 키워드
#시스템 설계#AI 모델#HTS#전기전자#SMES#코일건#전력 케이블#배터리#초전도#전력 시스템#풍력 발전#전기 추진#에너지 관리#신재생에너지#열역학
연구 분야
| 연구 1 | 차세대 초전도 전력 시스템 및 응용 |
| 내용 | 본 연구실은 고효율, 고용량 미래 전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인 초전도 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온초전도(HTS) 선재 및 코일의 설계, 제작 및 이를 활용한 초전도 자기에너지 저장장치(SMES), 초전도 전력 케이블, 초전도 발전기 및 모터, 산업용 초전도 유도가열기 등 다양한 초전도 전력 기기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전자기 해석 및 열역학적 냉각 시스템 설계 기술을 통해 초전도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DC/AC 전력 계통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안정성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PSCAD/EMTDC, RTDS와 같은 실시간 전력 계통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계통 연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환경에서의 성능을 예측하고 검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대용량 해상 풍력 발전기, 전기 추진 시스템(항공기, 선박), 전력망 안정화, 효율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 그리고 친환경 산업용 가열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국가 연구 과제 수행과 SCI급 논문 발표, 그리고 초전도 코일 평가 및 응용 장치 관련 특허 확보를 통해 해당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AI 기반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 제어 및 디지털 트윈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에너지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 예측, 진단 및 최적화를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공신경망(ANN), 강화학습(RL) 기반의 AI 모델 개발은 물론, 실제 물리 시스템의 가상 모델인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축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예측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특히, 풍력 터빈의 잔여수명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기반 상태 진단 모델,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및 재활용 방안,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최적화, 그리고 자동 하역 시스템 제어를 위한 Camera-LiDAR Fusion AI 알고리즘 개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디지털 시뮬레이터(RTDS)를 활용한 AI 모델의 검증은 물론, 실제 산업 현장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을 학습시켜 예측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효율 극대화, 시스템 고장 예측 및 예지보전(Predictive Maintenance)을 통한 운영 비용 절감, 그리고 지속 가능한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기반 해상 풍력단지 제어, 강화학습 기반 공장 에너지 관리, 부유식 해상풍력 터빈용 디지털 트윈 시스템 등 다수의 특허와 연구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신재생에너지 계통연계 및 전력망 안정화 |
| 내용 | 본 연구실은 태양광, 풍력 등 급증하는 신재생에너지원의 전력 계통으로의 안정적인 연계와 효율적인 통합 운영을 위한 핵심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AC/DC 하이브리드 배전망 운영 시스템 기술 개발, HVDC(초고압직류송전) 시스템 시뮬레이션 및 분석, 그리고 최적의 전력변환장치(PCS) 설계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Thyristor Controlled Series Compensator(TCSC)와 초전도 자기에너지 저장장치(SMES)와 같은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장치를 활용하여 전력 계통의 주파수 및 전압 안정화를 도모하고, 전력 품질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실시간 디지털 시뮬레이터(RTDS)를 이용한 대규모 전력 계통의 동적 안정성 분석 및 분산전원 시스템 통합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예측하고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안정적인 계통연계, 마이크로그리드의 효율적인 운영,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의 전력 품질 관리, 그리고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활용한 에너지 균형 조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미래 에너지 시스템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역률 보상 제어 장치, EDLC 포함 백 투 백 컨버터 및 스마트 계전기 등 관련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풍부한 산학협력 경험을 통해 기술의 실용화를 선도합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국무조정실, 한국전기연구원 등 국가기관 위원회 및 강의 정치 시사 프로그램 다수 출연 LX 컨소시엄, 창원대 교육센터 강의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