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

    등록된 기술이 없어요.

    행사

    등록된 행사가 없어요.

    지원사업

    e4c21f1b-4cb6-4427-acb2-d93b07926428
    시설ㆍ공간ㆍ보육2024-07-01 ~ 2024-10-31

    G-Space @ TIPS 「2024 경남 수도권 IR 연계 지원 프로그램」 참여기관 모집

    투자자 네트워크G-Space@TIPS팁스타운 투어IR 프로그램자금 조달
    461425a6-4c94-49d4-a4dc-d16d3253748c
    창업교육2024-02-05 ~ 2024-12-20

    2024년 경남 수도권 투자유치 거점센터(G-Space@TIPS) G-DEMO DAY

    비즈니스 성장정부 지원 프로그램IR 데모데이경남 창업기업투자 상담
    440b5ff0-75ac-471e-a7bb-f05cba395f60
    창업교육2024-02-14 ~ 2024-12-31

    [경남]2024년 IP디딤돌프로그램 지원 모집 공고

    무료 창업 교육창업 생태계신규 창업자지식재산 창업예비창업자 지원

    뉴스

    1d1d328c-9c17-4954-8dee-10da0fed52bf
    협약

    우주항공과 에너지 기술의 미래를 여는 국제 협력

    국립 창원대학교 위성영상분석 ICT 센터가 미국 프린스턴 플라즈마 물리연구소(PPPL)와의 국제 교류 협정을 통해 우주항공 및 에너지 기술 분야에서 공동 연구와 인력 양성을 시작합니다. 이번 협약은 플라즈마 물리학과 핵융합 과학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두 기관은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위성 활용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혁신적 발전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국제적 협력은 연구 결과의 실용화와 새로운 기술 개발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구 네트워크연구 협력위성영상분석기술 교류차세대 인공지능
    45c9f437-d1c1-479d-8ccd-c4f8f1e25a95
    협약

    국립창원대-LG전자, ‘오페라 카르멘 추진 협약’ 체결!

    국립창원대학교와 LG전자가 협력하여 오페라 '카르멘' 공연을 추진합니다. 이번 협약은 대학과 지역 사회의 문화예술적 소통을 강화하고, 경남 유일의 예술대학인 국립창원대의 글로컬 사업을 통해 지역-대학 상생 모델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협약으로 국립창원대는 LG전자의 후원을 받아 창원 성산아트대극장에서 정기 오페라 공연을 개최하며, 이를 통해 지역사회에 문화예술적 참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지역-대학 상생예술대학오페라 공연지역사회 문화문화 참여 확대
    IMG_161220.jpeg
    연구성과

    비파괴 및 구조진단 연구의 글로벌 성과, 국립창원대의 도약

    국립창원대학교의 비파괴 및 구조진단 연구실이 대만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 '1st Formosa Conference of Nondestructive Testing (FCNDT 2024)'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박사과정의 보리스 학생은 메타구조의 진동 저감 연구로 3위를, 최영일 학생은 항공기 복합재료 결함 진단 AI 기술로 장려상을, 최용준 학생은 초음파 특성을 활용한 연구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재선 교수는 Keynote 강연자로 초청되어 메타표면 구현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국립창원대의 연구 역량과 글로벌 연구 인재 육성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앞으로도 연구 지원과 국제 협력을 통해 세계적인 연구실로 자리 잡을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진동 저감국립창원대학교메타구조비파괴 검사R&D 과제
    IMG_154352.jpeg
    연구성과

    미생물로 폐리튬이온전지 재활용의 새로운 가능성 발견

    폐리튬이온전지의 재활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성 교수 연구팀은 미생물 Shewanella putrefaciens를 활용한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이 연구는 미생물이 금속을 이온 상태로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에너지 소모와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특히, 삼원계 NCM622 폐양극재에서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자원 회수와 환경 보호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환경 오염 감소에너지 자원 회수환경 보호미생물 재활용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

    연구자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