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국립창원대학교 공학융합학부 박희성 교수는 열유체 공학 및 에너지 시스템 분야의 핵심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박 교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관리, 가스터빈 및 고전력 전자장치의 첨단 냉각 기술, 그리고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인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의 성능 개선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 성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수치해석 및 실험적 방법을 활용하여 에너지 효율 극대화와 안정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열유체 및 에너지 기술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박희성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heesungpark@changwon.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기계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552133609 |
| 연구실 | 초미세 열유동 및 에너지 전달 실험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netlab-me-cwnu/home |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netlab-me-cwnu/%EA%B5%90%EC%88%98-%EB%8C%80%ED%95%99%EC%9B%90-%EC%97%B0%EA%B5%AC%EC%9B%90-%EB%B0%8F-%EC%A1%B8%EC%97%85%EC%83%9D |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 회사명 | 창원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2014 ~ 현재: 기계공학과 교수 |
| 회사명 | 미국 앨라배마대학교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19 ~ 2020: 헌츠빌캠퍼스 방문학자 |
| 회사명 | 현대·기아자동차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08 ~ 2014: 연구개발본부 선임연구원 |
| 회사명 | 아일랜드 리머릭대학교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06 ~ 2008: 항공기계공학과 연구원 |
| 회사명 | 삼성전자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03 ~ 2006: 디지털미디어연구소 선임연구원 |
| 연구 1 | 배터리 열관리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핵심인 리튬이온 배터리 및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의 성능 및 안전성 향상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 사전 감지 및 효과적인 열관리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이를 통해 배터리 시스템의 신뢰성과 수명 극대화를 목표로 합니다. 또한,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의 경우, 전극 및 유동 채널 설계 최적화를 통해 전력 밀도와 에너지 효율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노유체를 활용한 전해액 성능 향상 연구는 차별화된 접근 방식으로, 질량 전달 및 전기화학 반응 속도 증진을 통해 에너지 저장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전기차,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스마트 그리드 등 다양한 미래 에너지 산업에 필수적인 기술 기반을 제공하며, 에너지 효율 극대화 및 안정성 확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회 구현에 기여할 것입니다. 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 개발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첨단 냉각 기술 및 열유체 공학 응용 |
| 내용 | 본 연구실은 가스터빈, 고전력 전자장치, BLDC 모터 등 고열 부하 환경에 노출되는 첨단 시스템의 효율적인 열관리를 위한 혁신적인 냉각 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막냉각 성능 개선, 고전력 전자장치용 수냉식 방열판 및 열교환기 설계 최적화 등 극한 환경에서의 시스템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복합각도 막냉각 홀, 나선형 홈 냉각 유로, 와류 생성 히트싱크 등 독창적인 유동 제어 및 열전달 촉진 기술을 개발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다양한 수치해석(CFD) 및 실험적 검증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신뢰성을 확보하며, 마이크로채널 냉각 시스템 연구를 통해 소형화 및 고집적화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첨단 냉각 기술은 항공우주, 발전, 전기차, 반도체 등 고성능 및 고신뢰성을 요구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필수적이며, 에너지 시스템의 효율 증대와 장치 수명 연장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관련 산업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차세대 냉각 솔루션을 제시하고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
| 연구 3 | 수치해석 및 실험 기반 열유동 시스템 분석 |
| 내용 | 본 연구실은 복잡한 열유동 현상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고도화된 수치해석(CFD) 및 실험적 방법론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동해석을 통해 다양한 시스템 내부의 유체 흐름 및 열전달 특성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설계 방안을 도출합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가스터빈 연소 기술의 효율 개선, 적층제조 공정에서의 열 거동 분석, 열교환기 및 마이크로채널의 열전달 성능 최적화 등입니다. 특히, 수소 연료 연소기의 NOx 배출 저감 및 온도 균일성 확보, 유리 렌즈의 열 성형 공정 최적화 등 실제 산업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시뮬레이션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실험적 검증은 수치해석 모델의 정확성을 높이고 실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수치해석 및 실험 기반의 심층 분석 역량은 에너지, 제조, 전자 등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제품 개발 주기 단축, 성능 향상, 비용 절감 등의 혁신적인 가치를 제공합니다. 정밀한 예측 및 검증 기술을 바탕으로 기업의 기술 난제를 해결하고 미래 기술 개발을 위한 협력을 기대합니다. |
| 학력 사항 | 연세대학교 공학박사(기계공학)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