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우홍
주우홍
소속
국립창원대학교 (생물학과)
AI요약
국립창원대학교 생물학과 주우홍 교수는 미생물 및 생명공학 분야의 권위자입니다. 유기용매 내성 미생물 개발, 바이오계면활성제 및 혈전용해 효소 연구를 통해 산업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번행초, 흑마늘, 오리나무 등 천연물에서 항당뇨, 항암, 항산화, 항균 활성을 가진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제닉 아민 및 니코틴 분해능을 갖는 신규 미생물 균주 관련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며, 식품 안전 및 환경 정화 분야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우홍 교수의 폭넓은 연구는 생명과학 분야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주우홍 |
직책 | 교수 |
이메일 |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부서 학과 | 생물학과 |
사무실 번호 | - |
연구실 | - |
연구실 홈페이지 | - |
홈페이지 | - |
중요 키워드
#프로바이오틱스#바이오제닉아민#천연물신약#기능성식품#항산화#미생물공학#항균#항당뇨#바이오서팩턴트#유기용매내성#바이오촉매#발효식품#항염증#생물정화#효소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미생물 생명공학: 유기용매 내성 미생물, 생체 촉매, 바이오서팩턴트,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미생물 천연물 기능성 연구: 항산화, 항염증, 항암, 항당뇨 활성 물질 개발 및 기전 연구 환경 미생물학: 생물 정화, 폐수 처리 [대표 연구 내용] 유기용매 내성 미생물을 활용한 바이오 공정 효율 증대: - 문제 정의: 산업 공정에서 유기용매는 미생물의 활성을 저해하여 생산 효율을 낮추는 주요 원인입니다. 기존 미생물은 유기용매 환경에서 생존 및 기능 유지가 어렵습니다. - 기술 우위: 본 연구실은 유기용매에 대한 높은 내성을 가진 Pseudomonas sp. BCNU 106 및 171과 같은 미생물 균주를 분리, 특성 분석하고, 이들의 유기용매 내성 메커니즘(트레할로스 축적, 항산화 방어 시스템 등)을 규명했습니다. 이를 통해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효소(리파아제)를 생산하고 다양한 산업 물질을 생체 전환할 수 있는 독보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사업 가치: 개발된 미생물 및 효소는 유류 오염 정화, 바이오 연료 생산, 고부가가치 화학물질 합성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합니다. 특히,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공정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친환경적인 바이오 공정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발효식품 안전성 및 기능성 강화를 위한 미생물 제어 기술: - 문제 정의: 발효식품은 건강에 유익하지만, 발효 과정 중 생성될 수 있는 바이오제닉 아민과 같은 유해 물질은 식품 안전성을 위협하고 소비자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기술 우위: 본 연구실은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기존 아민을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예: Leuconostoc mesenteroides BCNU 3001, Staphylococcus equorum BCNU 3002, Lactobacillus arizonensis, Oceanobacillus sojae BCNU 3025)를 개발했습니다. 이들 균주는 식품 발효 중 유해 인자를 제어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발효식품 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 사업 가치: 이 기술은 김치, 장류, 육가공품 등 다양한 발효식품 산업에 적용되어 제품의 안전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신뢰를 얻어 시장 확대를 견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건강과 안전을 중시하는 현대 소비 트렌드에 부합하는 프리미엄 발효식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천연물 유래 항질환 기능성 소재 개발: - 문제 정의: 화학 합성 의약품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천연물 유래 기능성 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뇨, 염증, 암, 구강 질환 등 만성 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천연 소재 발굴이 중요합니다. - 기술 우위: 번행초, 흑마늘, 오미자, 사방오리나무, 유자, 탱자 등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당뇨, 항산화, 항염증, 항암, 항균, 구취 억제 등 다면적인 생리 활성 및 작용 기전을 과학적으로 규명했습니다. 이는 특정 효소 활성 저해 및 세포 조절 메커니즘 분석을 포함합니다. - 사업 가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기능성 화장품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이 가능합니다. 이는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천연물 기반의 지속 가능한 바이오 산업 성장에 중요한 동력이 될 것입니다.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