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구본흔

구본흔

소속

국립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

AI요약

국립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구본흔 교수는 첨단 신소재 개발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자성 재료(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나노 와이어 등), 나노 소재(산화물 나노 입자, 나노로드), 그리고 표면 처리 및 코팅(플라즈마 전해 산화, 난연 코팅, 환경 차단 코팅) 기술에 걸쳐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기열량 효과 향상을 위한 이중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개발, 고내식성/고강도 코팅 기술,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금속 분말 및 중금속 흡착제 개발 등의 혁신적인 성과를 통해 소재 과학 분야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고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구본흔 교수의 연구는 미래 산업을 위한 핵심 재료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구본흔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구본흔
직책교수
이메일bhkoo@changwon.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신소재공학부
사무실 번호0552133714
연구실코팅공정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www.changwon.ac.kr/foodenglab/main.do
홈페이지https://www.changwon.ac.kr/ctlab/cm/cntnts/cntntsView.do?mi=15868&cntntsId=5763
소속국립창원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창원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2002.04 - 현재: 신소재공학부 교수 (전자재료연구실 → 코팅공정연구실 담당)
회사명창원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2019.11 - 현재: 공동실험실습관 관장 2021.01 - 현재: 산학협력단 부단장/R&D 혁신본부 부본부장

중요 키워드

#부식방지#자원재활용#3D프린팅#환경친화#자기열량효과#코팅기술#중금속흡착#스핀트로닉스#표면처리#신소재#페로브스카이트#난연재#나노소재#에너지효율#금속분말

연구 분야

연구 1신소재 개발 및 자기열량 재료 연구
내용본 연구실은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나노 와이어, 산화물 나노 입자 및 나노로드 등 첨단 신소재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자기열량 효과 연구에 중점을 두어, 상온 자기냉각 성능을 가진 이중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및 루들스덴-포퍼 화합물 개발을 통해 기존 냉매 기반 냉각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물질의 구조적, 자기적 특성 제어를 통해 최적화된 자기냉각 성능을 구현하며, 다양한 첨단 전자재료 및 에너지 소자에 적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기냉각재료 외에도, 스핀트로닉스 응용을 위한 자성 나노 와이어 및 박막 제조 기술, 고기능 박막 및 코어-셀 구조 제작 기술 등 다각적인 신소재 연구를 수행하며 미래 산업의 핵심 동력원으로서 그 가치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연구는 자기냉각 성능을 가지는 LaSmCaMnO 루들스덴-포퍼 화합물 및 PrSrMnO 루들스덴-포퍼 화합물 특허 등 다수의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 2첨단 표면처리 및 코팅 공정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소재의 내식성, 내마모성, 기능성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전해 산화(PEO) 및 다양한 코팅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마그네슘 합금의 내식성 및 열적 특성을 높이기 위한 키토산 기반 전해플라즈마 공정 개발과 세륨 산화물 나노 분말을 활용한 산화막 형성 기술은 고내식성 코팅 분야의 핵심 역량입니다. 또한, 지르코니아 기반 복합 용사 코팅을 통해 고내구성을 요구하는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친환경 Si Multi-Coating 기술을 통해 기존 제품 대비 고내부식성 1.5배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난연 코팅 분야에서는 친환경 난연 하이브리드 복합재 기술 개발을 통해 건축 및 산업용 소재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첨단 표면처리 및 코팅 기술은 자동차, 항공, 건축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소재의 수명 연장과 성능 향상에 필수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환경 규제에 부합하는 지속 가능한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 3친환경 자원 재활용 및 중금속 흡착 소재
내용본 연구실은 산업 폐기물을 활용하여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자원 순환을 촉진하는 친환경 소재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플라즈마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이용한 3D 프린터용 금속 분말 제조 기술은 폐기물의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고, 3D 프린팅 산업의 소재 단가 절감 및 친환경적인 생산 공정 구축에 기여합니다. 또한, 절단 생성 산화철 흄을 활용한 중금속 흡착제 개발은 폐수 내 구리(Cu) 및 안티몬(Sb)과 같은 유해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수질 오염을 방지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와 함께, 나노 파우더를 이용한 1260℃급 고온 내열 특성이 향상된 친환경 보드단열재 개발 및 친환경 난연 하이브리드 복합재 기술 개발 등 환경 친화적인 기능성 소재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산업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한 핵심 기술을 제공하며, 환경 보호와 경제적 가치 창출을 동시에 달성합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학회/위원회 활동] - 대한금속·재료학회 추계 및 춘계 학술대회 발표 참여 - 한국세라믹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총회 참여

학력

학력 사항동북대학교 공학박사(의용세라믹)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