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호
김순호
소속
국립창원대학교 (빅데이터창업비즈니스학과)
AI요약
국립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순호 교수는 건축 재료 및 세라믹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토 및 페로니켈슬래그와 같은 순환 자원을 활용하여 저열팽창 세라믹스, 황토투수블럭, 기능성 점토기와 등 친환경 건축 재료를 개발하고 계십니다. 또한, 건물 에너지 소비량 특성 분석 및 가상 화재 대피 훈련 연구를 통해 건축물의 성능 향상과 안전성 확보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순호 교수의 폭넓은 연구는 지속 가능한 건축 환경 조성과 신소재 개발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순호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shkims@changwon.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빅데이터창업비즈니스학과 |
| 사무실 번호 | 0552133885 |
| 연구실 | BAC(3호관) 421호 |
| 연구실 홈페이지 | - |
| 홈페이지 | - |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중요 키워드
#건축재료#친환경건축#지속가능건축#페로니켈슬래그#재료공학#코디어라이트#투수블록#산학협력#건축물에너지#세라믹스#김순호#점토기와#에너지효율#폐자원재활용#저열팽창
연구 분야
| 연구 1 | 친환경 건축재료 개발 및 폐자원 재활용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지속 가능한 건축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친환경 건축재료 개발과 폐자원 재활용 기술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고령토, 페로니켈슬래그, 굴패각 등 다양한 산업 부산물과 순환 자원을 활용하여 건축 재료의 환경 부하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열팽창 코디어라이트 세라믹스, 황토투수블럭, 기능성 점토기와 등 혁신적인 소재를 개발하며, 나노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이용한 제조 방법과 소성 온도 저감 기술을 통해 경제성과 환경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연구는 단순히 재료의 개발을 넘어, 최적 혼합비 연구를 통한 매트형 탄성포장재와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됩니다.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KS F 3510과 같은 품질 규정을 만족시키는 고품질 친환경 건축재료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건축물의 내구성과 단열성을 증대시키고,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 재활용을 촉진하여 자원 순환 경제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기존 건축 시장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고, 신규 친환경 제품의 상용화를 통해 환경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특허 출원 및 논문 발표를 통해 기술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으며,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 연구 2 | 고기능성 세라믹 소재 기술 및 산업 응용 |
| 내용 | 본 연구실은 건축 분야를 넘어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고기능성 세라믹 소재 개발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재료공학적 접근을 통해 고열 환경 및 특정 물리적 특성이 요구되는 조건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세라믹 소재를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저열팽창 코디어라이트 세라믹스는 물론, 나노융복합 방열필름과 같은 첨단 세라믹 기반 복합 소재 개발이 대표적인 연구 분야입니다. 세라믹 필러를 나노미터 수준으로 미세화하고 구형화하여 열경화성 접착수지에 최밀 충전시키는 독자적인 기술을 통해 방열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LED PCB 패널의 열 확산 및 방열 성능 개선, 나노융합소재 방열필름을 적용한 컨버터 개발 등 고효율, 절연성이 요구되는 전자 및 전기 산업 분야에서 큰 가치를 가집니다. 또한,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보일러 튜브용 안티 파울링 코팅 개발 기획과 같은 산업 특화 솔루션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기능성 세라믹 소재 기술은 열 관리가 중요한 전자 제품의 성능과 수명 향상에 기여하며, 건축용 세라믹 사이딩의 화재 안정성을 높이는 등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미래 산업의 핵심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건축물 에너지 효율 분석 및 안전성 강화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거주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선형 회귀모형을 개발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예측하고 최적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는 에너지 절감형 건축 설계 및 리모델링 전략 수립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특히, 건축물 안전성 분야에서는 화재 예방 및 대피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가상 화재 대피 훈련을 위한 열 방출률 연구를 진행하며, 아파트 화재 대피용 캡슐형 안전 구조물 개발을 통해 실제 재난 상황에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용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화재 안정성을 강화한 나노 코팅 건축용 세라믹 사이딩 개발은 건축물의 내화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에너지 절감 및 항균 기능을 갖는 IoT 적용 지능형 창호 블라인더 개발처럼 실제 생활 환경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기술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건축물의 친환경성과 거주자의 쾌적성을 동시에 높이며, 미래 건축 시장의 핵심 가치인 에너지 효율과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100년 거제디자인 자문위원회 (2023.07~2025.02) 경상남도의회, 창원상공회의소, 거제시 강의 LINC+ 탄소중립 및 녹색건축 설계요소 교육 강의 등 |
학력
| 학력 사항 | 경상대학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