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국립창원대학교 스마트그린공학부 환경에너지공학전공 박경훈 교수는 지속가능한 도시 및 환경 조성을 위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드론(UAV)과 지리정보시스템(GIS), 그리고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하여 도시 열환경 개선, 대기질 및 수질 오염원 모니터링, 비점오염원 관리, 생태계 보전 등 다양한 환경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박경훈 교수의 연구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 특성 분석에서부터 환경 정책 수립에 필요한 실증적 데이터를 제공하며, 미래 친환경 도시 모델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박경훈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landpkh@changwon.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환경에너지공학전공 |
| 사무실 번호 | 0552133747 |
| 연구실 | Geo-Information Convergence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editgis |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editgis/members |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 회사명 | 창원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스마트그린공학부 교수 |
| 회사명 | 한국지리정보학회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부회장 (2018.03 ~ 현재) |
| 회사명 | 경남녹색환경지원센터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경남녹색환경지원센터장 (2019.03 ~ 2020.12) |
| 회사명 | 창원대학교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LINC+ 사업단장 (2017.04 ~ 2020.06) 산학협력단장 (2016.10 ~ 2020.06) |
| 연구 1 | 드론 및 GIS 기반 환경 모니터링 및 관리 |
| 내용 | 본 연구실은 드론(UAV)과 지리정보시스템(GIS) 융합 기술을 활용하여 복잡한 환경 문제를 정밀하게 진단하고 관리하는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중분광센서를 탑재한 드론을 통해 수질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녹조 발생 및 비점오염원의 현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며, 딥러닝 기반 자동 추출 기법으로 농업지역 야적퇴비의 적재량과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염원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무인항공기 영상과 다양한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도시 및 농업 지역의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역환경 조사 및 생태계 변화를 분석하는 등 광범위한 환경 데이터 분석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낙동강 유역의 물환경 변화 조사, 소규모 저수지의 수생식물 탐지, 그리고 도시생태현황지도 제작 등 다양한 실제 문제 해결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왔습니다. 축적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드론을 이용한 수질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야적퇴비 적재량 산출 검증 시스템, 수생식물 탐지 방법 등 다수의 특허를 등록하였으며, 이는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기술 사업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 오염원 관리의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 지속가능한 환경 관리를 위한 첨단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인공지능 기반 도시 열환경 및 대기질 분석 및 개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공지능(AI)과 지능형 공간정보기술을 결합하여 도시의 열환경 및 대기질 문제에 대한 통합적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위성영상, 드론(UAV) 영상 및 현장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시 공간의 열 쾌적성을 정밀하게 평가하고, 미기후 모델링(ENVI-met)을 통해 도시의 물리적 환경 특성이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도시 열섬 현상을 완화하고 바람길을 조성하는 최적의 공간설계기법을 개발하며,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AI 기술을 통해 미세먼지(PM2.5) 농도 패턴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여 대기질 개선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GIS 기반으로 노인인구 분포지역과 폭염의 관계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취약한 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위성영상 고도화를 통한 실감화 및 응용 연구, 지능형 공간정보 기반 미세먼지 저감 최적 공간설계기법 개발, 폭염 적응형 공간계획 및 설계 기법 개발 등 다양한 국책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그 전문성을 인정받았습니다. 관련 연구 성과는 Building and Environment, Urban Climate 등 다수의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는 미래 친환경 스마트 도시 구축에 필수적인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지속가능한 도시 및 환경 정책 지원 솔루션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지속가능한 도시 및 환경 조성을 목표로, 지리정보와 다양한 환경 데이터를 융합하여 정책 결정에 필요한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도시생태현황지도 제작을 통해 지역의 생태적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김해시와 창원시의 바람길 조성 방안 등 구체적인 도시 계획을 수립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교육도시 지정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폐자원에너지화 특성화 대학원 사업 참여 등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 및 자원 순환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책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단지 내 위험물 저장시설의 지진 및 강풍 대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과 같은 환경 안전 분야 연구는 재난 예방 및 대응 역량 강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줍니다. 하천 모니터링 및 비점오염원 관리 계획 수립을 통해 지역의 물환경을 보전하고,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도시지역 침수 취약성 평가로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합니다. 본 연구실의 활동은 단순한 학술 연구를 넘어, 지역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 수립과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며, 미래 세대를 위한 건강하고 안전한 도시 환경을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 활동 내용 | 경남 미래포럼 “대전환의 시대, 경남 미래전망 대응” 토론자 (2024.12.16) 2024년도 제2회 경상남도 국립공원포럼 토론자 (2024.10.31) 경남 국립공원 정책포럼 토론자 (2024.05.31) 사천시 정책자문단 위원 (2024.03.01 ~ 2025.02.28) 한국연구재단 학술진흥본부 총괄 심의위원회 위원 (2024.03.01 ~ 2025.02.28) 경상남도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위원 (2024.03.01 ~ 2025.02.08) 경상남도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2024.03.01 ~ 2024.12.01) 창원시의회 의정자문위원회 위원 (2024.03.01 ~ 2024.11.30) 경상남도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2024.03.01 ~ 2024.10.11) 2023 지속가능발전 경남정책포럼 토론자 (2023.12.20) 부산경남 행정통합 추진 정책토론회 좌장 (2023.04.27) 사천시 정책자문단 위원 (2023.03.27 ~ 2024.02.29) 창원시 적극행정위원회 위원 (2023.03.08 ~ 2024.02.29) 부산도시공사 제10기 기술자문위원회 위원 (2023.03.01 ~ 2024.02.29) |
| 학력 사항 | Ph.D.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1999.03 ~ 2003.02) M.S.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1997.03 ~ 1999.02)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