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훈
박경훈
소속
국립창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전공)
AI요약
국립창원대학교 스마트그린공학부 환경에너지공학전공 박경훈 교수는 지속가능한 도시 및 환경 조성을 위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드론(UAV)과 지리정보시스템(GIS), 그리고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하여 도시 열환경 개선, 대기질 및 수질 오염원 모니터링, 비점오염원 관리, 생태계 보전 등 다양한 환경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박경훈 교수의 연구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 특성 분석에서부터 환경 정책 수립에 필요한 실증적 데이터를 제공하며, 미래 친환경 도시 모델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박경훈 |
직책 | 교수 |
이메일 | landpkh@changwon.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부서 학과 | 환경에너지공학전공 |
사무실 번호 | 0552133747 |
연구실 | Geo-Information Convergence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editgis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editgis/members |
경력정보
회사명 | 창원대학교 |
재직기간 | 재직 중 |
담당업무 | 스마트그린공학부 교수 |
회사명 | 한국지리정보학회 |
재직기간 | 재직 중 |
담당업무 | 부회장 (2018.03 ~ 현재) |
회사명 | 경남녹색환경지원센터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경남녹색환경지원센터장 (2019.03 ~ 2020.12) |
회사명 | 창원대학교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LINC+ 사업단장 (2017.04 ~ 2020.06) 산학협력단장 (2016.10 ~ 2020.06) |
중요 키워드
#데이터 분석#기후변화#환경 공학#인공지능#수질 관리#GIS#스마트시티#드론#도시 계획#지리정보시스템#PM2.5#도시 열환경#야적퇴비#원격 탐사#환경 모니터링
대외활동
활동 내용 | 경남 미래포럼 “대전환의 시대, 경남 미래전망 대응” 토론자 (2024.12.16) 2024년도 제2회 경상남도 국립공원포럼 토론자 (2024.10.31) 경남 국립공원 정책포럼 토론자 (2024.05.31) 사천시 정책자문단 위원 (2024.03.01 ~ 2025.02.28) 한국연구재단 학술진흥본부 총괄 심의위원회 위원 (2024.03.01 ~ 2025.02.28) 경상남도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위원 (2024.03.01 ~ 2025.02.08) 경상남도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2024.03.01 ~ 2024.12.01) 창원시의회 의정자문위원회 위원 (2024.03.01 ~ 2024.11.30) 경상남도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2024.03.01 ~ 2024.10.11) 2023 지속가능발전 경남정책포럼 토론자 (2023.12.20) 부산경남 행정통합 추진 정책토론회 좌장 (2023.04.27) 사천시 정책자문단 위원 (2023.03.27 ~ 2024.02.29) 창원시 적극행정위원회 위원 (2023.03.08 ~ 2024.02.29) 부산도시공사 제10기 기술자문위원회 위원 (2023.03.01 ~ 2024.02.29) |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드론 기반 환경 모니터링 및 분석, 인공지능 및 GIS 활용 환경 데이터 분석 세부 분야: 도시 열환경 분석, 수질 현황 모니터링, 수생식물 탐지, 농업지역 야적퇴비 관리, PM2.5 농도 및 도시 온도 특성 분석, 기후변화 민감성 분석, 도시계획을 위한 공간 정보 활용 [대표 연구 내용] 문제 정의: 기존 환경 모니터링 및 분석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시 열섬, 수질 오염, 비점오염원(야적퇴비), 미세먼지 등 복잡한 환경 문제에 대한 정밀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확보 및 분석이 시급합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 환경 변화 예측 및 대응을 위한 고도화된 기술이 요구됩니다. 기술 우위: 박경훈 교수는 드론(UAV), 인공지능(AI),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융합하여 환경 데이터를 취득하고 분석하는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중분광센서를 탑재한 드론을 활용한 수질 및 수생식물 모니터링, AI 기반 수계 오염원 탐지 및 야적퇴비 적재량 산출, 그리고 현장 실측 데이터와 ENVI-met 모델 시뮬레이션을 결합한 도시 열환경 및 PM2.5 농도 분석은 기존 방식으로는 불가능했던 공간적, 시간적 정밀도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환경 데이터의 신뢰성과 활용성을 극대화합니다. 사업 가치: 본 연구는 환경 관리의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높이고,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도시 및 환경 정책 수립에 기여합니다. 예를 들어, 드론 기반의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및 비점오염원 관리는 수질 개선 비용 절감 및 환경 규제 준수율 향상에 직결됩니다. 도시 열환경 분석 및 바람길 조성 연구는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에너지 효율 증대에 기여하며, 이는 관련 정부 기관, 환경 컨설팅 기업, 스마트시티 개발사 등 다양한 주체들에게 실질적인 사업 가치와 협력 기회를 제공합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Ph.D.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1999.03 ~ 2003.02) M.S.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1997.03 ~ 1999.02)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