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희
박상희
소속
국립창원대학교 (에너지화학공학과)
AI요약
국립창원대학교 공학융합학부 박상희 부교수는 지속 가능한 친환경 소재 및 분리막 기술 연구의 선두 주자입니다. 나노여과막, 유기용매 저항성 막, 바이오 기반 복합 재료 개발을 통해 수처리 및 환경 정화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프로필에서 박상희 부교수의 주요 논문과 연구 활동을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박상희 |
| 직책 | 부교수 |
| 이메일 | sanghee.park@changwon.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에너지화학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552133755 |
| 연구실 | - |
| 연구실 홈페이지 | - |
| 홈페이지 |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user=kUUvkmcAAAAJ&hl=en |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창원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화학공학과 교수 |
중요 키워드
#지속가능성#바이오매스#환경 정화#복합재료#폐수 처리#멤브레인 기술#고분자#흡착 기술#유기용매 분리#신소재#분리막 공정#나노여과막#계면 중합#생체모방#수처리
연구 분야
| 연구 1 | 고성능 분리막 및 유기용매 나노여과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고분자 분리막 설계 및 유기용매 나노여과(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고분자 소재를 기반으로 한 분리막의 구조와 특성을 제어하여, 유기용매 환경에서도 높은 투과도와 선택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고성능 분리막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계면 중합 기술을 활용하여 박막 복합 분리막의 활성층을 최적화하고,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과 같은 지속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분리막 제조에 적용하여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성능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또한, 분리막 반응기(Membrane Reactor) 개념을 도입하여 반응과 분리를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공정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화학, 제약, 식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요구되는 복잡한 유기 혼합물의 분리 및 정제 공정에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며,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화학 산업 및 환경 보호에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지속가능 친환경 복합소재 및 기능성 신소재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친환경 복합소재 및 기능성 신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매스(biomass) 유래 물질을 활용하여 환경 부하를 줄이면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소재를 개발하는 것이 핵심 목표입니다. 예를 들어, 황마 섬유와 같은 천연 재료를 화학적으로 개질하여 소수성을 부여하고, 이를 고강도 복합재료의 원천 기술로 활용합니다. 또한, 탄닌산과 같은 친환경 물질을 기반으로 한 초발수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개발하여 결빙 억제, 자기세정 등의 기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극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실리콘 기반 고무 패킹 소재 개발을 통해 특정 산업 분야의 난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흡착 소재 개발, 임플란트 수술 기구 보관용 경량 플라스틱 케이스 개발 등으로 이어져 자원 순환을 촉진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술 혁신에 기여합니다.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구현을 위한 재료 과학 분야의 중요한 초석을 다지고 있습니다. |
| 연구 3 | 첨단 분리/흡착 기술 기반 환경 정화 및 수처리 솔루션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류의 삶과 직결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첨단 분리 및 흡착 기술을 기반으로 한 환경 정화 및 수처리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 폐수 및 생활 하수 내 미량 오염물질, 중금속, 유기 오염물질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혁신적인 기술을 연구합니다. 고성능 멤브레인 기술(나노여과막 포함)과 다양한 흡착 소재를 결합하여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에너지 소모는 최소화하는 공정을 설계합니다. 또한, 바이오파울링(biofouling)을 억제하여 멤브레인의 장기 안정성을 확보하고, 그래핀 기반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을 활용한 유수 분리 기술로 산업 폐수 처리에 기여합니다. 친환경 다공성 소재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흡착 소재 개발은 자원 순환 경제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확보하고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국내외 환경 규제 강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술적 대안을 제시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울산대, 부경대, 고려대, 한국재료연구원 등 다양한 기관에서 초청 강의 경남 서비스로봇 포럼, 산학 심포지엄 등 다수 참여 |
학력
| 학력 사항 | 고려대학교 공학박사(화공생명공학)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