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호
김석호
소속
국립창원대학교 (기계공학과)
AI요약
국립창원대학교 공학융합학부 김석호 교수는 초전도 및 극저온 공학 분야의 권위 있는 연구자입니다. 초전도 자석, 전력 케이블, 에너지 저장 장치(SMES) 및 다양한 극저온 냉각 시스템 설계와 특성 분석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온 초전도(HTS) 기술의 응용과 기계적, 열적 특성 분석에 주력하여 관련 분야의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석호 교수의 심도 있는 연구는 다수의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프로필을 통해 김석호 교수의 주요 연구 성과와 학술 활동을 자세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석호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seokho@changwon.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기계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552133607 |
| 연구실 | 저온공학 & 초전도 연구실 CESLab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ceslab.net/ |
| 홈페이지 | https://www.ceslab.net/%EB%B3%B5%EC%A0%9C-%EA%B5%90%EC%88%98-%EB%B0%8F-%EC%97%B0%EA%B5%AC%EC%A7%84 |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국립창원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2010 - 현재 기계공학부 교수 대학원장 |
| 회사명 | 융합열유체 공학연구센터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2014 - 현재 융합열유체 공학연구센터장 |
| 회사명 | 미국고자기장연구소 (NHMFL)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15 - 2016 방문연구원 |
| 회사명 | 메카트로닉스 연구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2018 - 현재 부원장 |
| 회사명 | 극한환경 스마트 기계부품 설계/제조(RLRC)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2019 - 현재 혁신센터장 |
중요 키워드
#냉각시스템#초전도발전기#HTS#에너지저장장치#고온초전도#양자과학#전력시스템#초전도#초전도케이블#초전도모터#자기부상열차#극저온공학#열전달#전도냉각#초전도자석
연구 분야
| 연구 1 | 고온 초전도(HTS) 자석 및 응용 시스템 개발 |
| 내용 | 초전도 및 극저온 공학 분야의 권위 있는 연구자로서, 고온 초전도(HTS)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자석 및 전력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HTS 자석의 설계, 제작, 그리고 특성 분석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이를 초전도 발전기, 초전도 모터, 에너지 저장 장치(SMES)와 같은 고효율 응용 기기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자기부상열차 및 전력시스템 관련 과제를 통해 HTS 기술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으며, 자화 손실 해석, 임계 전류 예측, 열-구조 최적 설계 등을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 및 고성능 전력 인프라 구축에 핵심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극저온 냉각 시스템 설계 및 최적화 |
| 내용 | 초전도 기술의 필수 요소인 극저온 환경 유지를 위한 혁신적인 냉각 시스템 설계 및 최적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액체수소 재액화 저장 시스템, 초전도 케이블 및 모터 냉각 시스템, 우주환경 모사장치 등 다양한 극한 환경에서의 냉각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도 냉각 방식, 진동형 히트파이프, 루프 히트파이프 등 최첨단 열전달 기술을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극저온 상태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양자 소자용 극저온 냉동기 개발 과제 등을 통해 차세대 기술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냉각 시스템의 열적, 유동적 특성 분석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극한환경 스마트 기계부품 설계 및 제조 기술 |
| 내용 | 극한 환경에서 작동하는 스마트 기계 부품의 설계, 제조 및 성능 평가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전도 코일 보빈의 직선부 들뜸 방지 구조, 극저온 초전도 회전기의 커플링부 동결 방지 및 씰링 구조 등 특수 목적 기계 부품의 구조적 안정성 및 기능성 향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D 프린팅을 이용한 복합 소재 개발 및 제조 방법을 통해 혁신적인 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며, 소형 비행체 날개 구동 장치, 차량용 콜드체인 디바이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극한환경 스마트 기계부품 설계/제조 혁신센터장을 역임하며 지역 산업군의 기술이전 및 기술지도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관련 분야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수상 내역]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수상 |
학력
| 학력 사항 | 한국과학기술원 (KAIST) 공학박사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