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일
한상일
소속
국립창원대학교 (에너지화학공학과)
AI요약
국립창원대학교 공학융합학부 한상일 교수는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첨단 소재 및 공정 개발 분야의 전문가입니다. 특히, 금속-유기 골격체(MOF) 및 전기방사 나노섬유를 활용하여 이산화탄소(CO2) 포집,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및 미세먼지 제거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화학 공정 시뮬레이션 및 안전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 환경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상일 교수의 혁신적인 연구는 산업 현장의 효율성 증대와 국민 건강 증진에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한상일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sangilh@changwon.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에너지화학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552133757 |
| 연구실 | 기능성나노소재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changwon.ac.kr/advmater/main.do |
| 홈페이지 | https://www.changwon.ac.kr/advmater/cm/cntnts/cntntsView.do?mi=15128&cntntsId=5443 |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창원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2014 ~ 현재: 화학공학과 부교수 |
| 회사명 | 현대중공업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13 ~ 2014: 기술연구소 수석연구원 |
| 회사명 | 미국 MIT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12 ~ 2013: 화학공학과 박사후연구원 |
| 회사명 | 미국 조지아공대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10 ~ 2012: 화학생체공학부 박사후연구원 |
중요 키워드
#CO2 포집#친환경#화학공정#탄소중립#멤브레인#미세먼지필터#환경공학#MOF#금속유기골격체#나노섬유#VOC 흡착#흡착제#시뮬레이션#전기방사#수처리
연구 분야
| 연구 1 | 환경 유해물질 제거 및 탄소 포집용 기능성 나노소재 |
| 내용 | 본 연구실은 대기 및 수질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기능성 나노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산화탄소(CO2) 포집,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흡착,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고성능 멤브레인 및 필터 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금속유기골격체(MOF)와 전기방사 나노섬유 기술을 융합하여, 높은 표면적과 조절 가능한 기공 구조를 가진 하이브리드 소재를 설계하고 합성합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낮은 에너지 소비로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수처리 분야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친환경 공정을 연구하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 환경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산업 배가스 처리, 실내 공기질 개선, 수자원 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환경 보호와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금속유기골격체(MOF) 및 전기방사 나노섬유 합성 및 응용 |
| 내용 | 본 연구실은 금속유기골격체(MOF)와 전기방사 나노섬유의 정밀 합성 및 다양한 응용 분야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MOF는 다공성 구조를 통해 기체 흡착, 분리, 촉매 등 여러 기능성을 제공하며, 전기방사 나노섬유는 높은 표면적과 유연성으로 필터, 센서 등에 활용됩니다. 우리는 마이크로파 합성법, 이온열 합성법 등 혁신적인 MOF 합성 방법을 통해 기존 대비 합성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MOF와 고분자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나노섬유를 제조하여, CO2 및 VOCs 포집 효율을 극대화하고, 미세먼지 차단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는 환경 정화뿐만 아니라, 색상 변화를 통한 음식 신선도 감지 센서와 같은 바이오메디컬 및 스마트 센서 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맞춤형 소재 설계와 공정 최적화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고성능 기능성 소재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 연구 3 | 화학 공정 시뮬레이션 및 공정 안전 분석 |
| 내용 | 본 연구실은 복잡한 화학 공정의 효율을 최적화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첨단 시뮬레이션 및 분석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전산유체역학(CFD) 기반의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수소 가스 누출, 도시 가스 설비 폭발 위험성 등 잠재적 사고 시나리오를 정밀하게 예측하고, 이를 통해 공정 설계 및 운영의 안전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또한, 증류탑과 같은 주요 화학 공정 장치의 열역학적 거동 및 물질 전달 특성을 분석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최적화 방안을 연구합니다. LNG 중질탄화수소 분리 공정 설계 등 실제 산업 현장의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공정 설계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공정 운영의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지속 가능한 화학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경상남도인재개발원 – 강의 (2014.06.13) 유휴·저활용장비이전심의위원회 – 국가단위기관 위원회 (2015.03.01 ~ 2016.02.29) 한국환경공단 기술자문위원회 – 국가단위기관 위원회 (2015.05.01 ~ 2016.02.29)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시설·장비심의평가단 – 국가단위기관 위원회 (2016.08.01 ~ 2017.02.28) 울산대학교 – 강의 (2018.03.12) 국가연구시설장비심의평가단 심의위원 – 국가단위기관 위원회 (2021.03.01 ~ 2022.12.31) 국립중앙도서관 외국자료 추천위원 – 국가단위기관 위원회 (2021.03.01 ~ 2023.12.31) |
학력
| 학력 사항 | Ph.D. 화학공학과, 버지니아텍, 미국, 2010 M.S. 화학공학과, 부산대학교, 2005 B.S. 화학공학과, 부산대학교, 2003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