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박종관 국립창원대학교 스마트그린공학부 환경에너지공학전공 부교수님은 물 환경 분야의 다양한 문제 해결에 매진하고 계십니다. 특히, 정삼투압 및 분리막 공정을 활용한 해수담수화 기술 개발, 유기물질의 효율적인 모니터링 및 제거 방안 연구, 그리고 수처리 과정에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을 접목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복잡한 수질 오염 진단부터 최적화된 수처리 시스템 구축에 이르기까지, 지속 가능한 물 환경 조성에 기여하는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박종관 |
| 직책 | 부교수 |
| 이메일 | jkpark2019@changwon.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환경에너지공학전공 |
| 사무실 번호 | 0552133742 |
| 연구실 | 탄소중립 수처리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aedm |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aedm/%EA%B5%AC%EC%84%B1%EC%9B%90members?authuser=0 |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 회사명 | 창원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2023.9 ~ 현재: 스마트그린공학부 부교수 |
| 회사명 | 창원대학교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19.9 ~ 2023.8: 스마트그린공학부 조교수 |
| 연구 1 | 스마트 수처리 및 환경 모니터링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지속 가능한 물 환경을 위한 스마트 수처리 기술 개발 및 효율적인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폐수처리, 오염물질 제거, 수질 분석 등 핵심 수처리 공정을 고도화하고,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을 통해 수질 악화 요인을 조기에 진단하며 최적의 해결 방안을 모색합니다. 특히, 고효율 녹조 제거 장치 개발 및 비점오염원 현황 조사와 저감 방안 마련 연구를 통해 하천과 연안 생태계 보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는 여과, 응집·침전, 소독, 막 분리, 고도산화 등 다양한 물리·화학·생물학적 단계를 통합하여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실제 폐수배출시설에서 발생하는 유기물질의 특성을 정밀 분석하고, 수처리용 필터의 처리 수질을 분석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마산만과 같은 특정 해역의 수질 개선을 위한 우선순위 하천 선정 연구에 활용되어 지역 사회의 환경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정수부터 하수재이용까지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물 공급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하며,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스마트한 물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여 산업적 및 사회적 가치를 창출합니다. |
| 연구 2 | 인공지능 기반 수질 분석 및 최적화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기술을 수처리 분야에 접목하여 복잡한 수질 오염 진단 및 최적화된 수처리 시스템 구축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딥 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자연유기물질(NOM)의 초정밀 분석 기술을 개발하며, 이를 통해 수처리 효율 개선 및 소독 부산물 생성 제어에 기여합니다. AI 모델을 활용한 수처리 공정의 성능 예측 및 최적화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수처리용 막분리 공정 운영의 예측 및 최적화에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공정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드론 기반 센싱과 딥 러닝 모델링을 통해 조류의 주요 및 보조 색소를 분석하여 녹조 현상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종 미량 오염물질의 수생태계 유입 부하량을 예측하고, 기존 분석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여 미량 오염물질을 추정하는 데 딥 러닝 및 머신러닝을 활용하는 등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의 용존 유기탄소 정량화 연구는 실시간 모니터링의 기반을 마련하며, 물 환경 관리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미래형 스마트 물 관리 시스템의 핵심 동력이 됩니다. |
| 연구 3 | 탄소중립형 지속가능 물 환경 시스템 |
| 내용 | 본 연구실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지속 가능한 물 환경 조성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및 시스템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전과정평가(LCA) 기법을 활용하여 원료 채취부터 제품 및 공정의 폐기까지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며, 탄소발자국 및 물발자국을 평가하여 '진정한 지속 가능성'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탄소 배출 저감형 인공습지 시스템 개발에 적용되어 환경적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수소에너지산업 고도화 인력 양성 과제에 참여하며 미래 에너지 전환을 위한 물 처리 및 활용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PEM 수전해 기술을 이용한 수소 생산과 수처리를 결합한 시스템은 친환경 에너지 생산과 동시에 물 재이용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인공습지 시스템 연구에서는 국내외 목록분석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하수처리용 인공습지의 물발자국을 비교 분석하는 등 환경 부하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물 환경 분야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며,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기술사업화 협력의 기반을 마련합니다. |
| 학력 사항 | Ph.D. 도시환경공학과, 울산과학기술원 (UNIST), 2017년 2월 M.S. 과학환경공학부, 광주과학기술원 (GIST), 2011년 2월 B.S. 환경도시공학부, 아주대학교, 2009년 2월 |
보유 기술 로딩 중...